1. RG (Radius of Gyration)의 정의
ABC가 정의한 것으로 관성능률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물체의 총질량이 집중된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말한다.
물체는 외력을 받지 않으면 운동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다.
볼링볼의 무게중심이 중심에 있으면 일찍 운동하고 바깥쪽에 있으면 늦게 운동한다.
2. 볼링볼의 RG 적용
RG라는 개념은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하여 오늘날 볼링볼의 Reaction을 측정하는 중요한 결정요소이다.
이 수치를 다른 결정요소와 비교하는 방법을 알면 볼러가 볼의 Reaction을 예상할 수 있다.
3. RG의 이해
  |
RG의 개념은 피켜스케이팅 선수의 스핀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빠른 회전을 하기 위해선 팔과 다리를 몸 가까이 집중해야 빨리 돌 수 있다. (그림 1) 몸이 회전축이고 볼링 볼에는 중심쪽이 회전축이다. 볼링에서도 같은 현상이 있어서 3피스 볼 같이 RG가높은 볼은 웨이트가 한바퀴 도 는 레볼루션이 더 많은 시간을 필요하고 2피스볼은 웨이트가 볼 중심에 있어서 더 빨리 회전한다. |
<그림 1>
RG가 높은 공은 그 질량이 공 중앙에서 멀리 있어서 레인에서 멀리 미끄러져 내리는 경향이 있고 브레이크포인트 지점을 지연시킨다.
RG가 낮은 공은 그 질량이 공 중앙에서 가까이 위치해 있어서 좀 더 일찍 구르는 경향이 있고 브레이크포인트 지점이 빨리 온다.
4.RG의 규정
허용범위는 2.430 - 2.800으로 지존볼링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2.430 - 2.509 |
2.510 - 2.539 |
2.540 - 2.579 |
2.580 - 2.629 |
2.630 - 2.800 |
낮음 |
약간 낮음 |
중간 |
약간 높음 |
높음 |
<표 1>5.코아형태와 RG 측정볼을 단면으로 3등분하여 (그림 2) 중심으로부터 웨이트 분포를 확인해 본다.코아의 형태가 중심쪽으로 있으면 RG가 낮은 볼이고 바깥쪽으로 분포되 있으면 RG가 높은볼이다.매스(Mass)의 정확한 질량을 측정하기 어렵고 크기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코아형태는 RG의 수치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림 2 그림 4 그림 5
동일한 토크가 작용하면 웨이트의 중심이 바깥쪽인 볼은 한바퀴 도는 회전시간이 많이 걸리고 (그림 4) 웨이트의 중심이 안쪽으로 분포되 있는 볼은 상대적으로 선회되는 시간이 짧아서 더 빨리 회전을 시작한다. (그림 5)
그림 4와 같이 RG가 높은 대부분의 3피스 형태의 볼은 스키드를 많이 발생하고 브레이크포인트가 늦게 형성되며 그림 5와 같이 RG가 낮은 2피스 형태의 볼은 롤이 일찍 발생하고 브레이크포인트가 빨리 형성된다.
6. RG에 따른 훅의 변화
<그림 6>
RG가 높은 공은 그 질량이 공 중앙에서 멀리 있어서 레인에서 멀리 미끄러져 내리는 경향이 있고 브레이크포인트 지점을 지연시킨다. (그림 6)
<그림 7>
RG가 낮은 공은 그 질량이 공 중앙에서 가까이 위치해 있어서 좀 더 일찍 구르는 경향이 있고 브레이크포인트 지점이 빨리 온다.<그림 7>
7. RG의 위치
 |
2.43이라면 질량의 중심이 중심에서 2.43인치 지점에 있음을 나타내고 2.8은 중심에서 2.8인치 지점에 위치함을 보여준다. 좌측 그림은 실제 위치를 보여준다. |
8. RG별 볼의 분류
* 높은 RG볼
 그림 8 |
전형적인 3피스볼로 대부분의 RG가 높은볼은 이러한 팬케익 형태의 웨이트블록을 사용하며 웨이트 분포가 "3" 위치에 몰려있음을 보여준다. |
*약간 높은 RG볼





그림 9 그림 10 그림 11 그림 12 그림 13
원형코아에 "퍽" 형태의 플립블록을 대부분 사용하며 코아가 크다.
플립코아는 RG를 높여주는 목적으로 1990년대 초반부터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서 원형코아에 결합되 있고 RG편차를 크게 하기도 한다.
그림 9는 전형적인 블립블록을 보여주며 그림 10은 상단의 높은 RG와 다소 낮은 하단의 퍽의 결합으로 약간 높은 RG 수치를 나타낸다.
그림 11은 종모양의 거대한 내부구조에 하단에 블립블록을 사용했다.
그림 12는 3피스 구조에 중심에 작은 코아를 사용하여 RG를 낮게 하여 3피스볼이지만 훅이 일찍 발생하게 설계되 있고 그림 13은 거대한 원형코아에 상하 모두 플립블록을 사용하여 롤을 강화하고 렝스를 길게 하는 목적으로 설계되 있다.
* 중간 RG볼





그림 14 그림 15 그림 16 그림 17 그림 18
RG가 중간인 볼들은 레인에 적응력이 뛰어나고 전천후적인 특징이 있으며 높은 RG를 가진 볼과 낮은RG를 가진 볼들의 특징을 결합하는 융통성이 강한 면을 보여준다.
그림 14는 3피스형태에 비교적 큰 내부 코아를 사용하며 그림 15와 그림16은 매스바이어스를 사용한 구조로 퍽과 플립블록이 바깥쪽으로 형성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림 17은 전구모양의 코아에 큰 플립블록을 사용한 모양이다.
* 약간 낮은 RG볼





그림 19 그림 20 그림 21 그림 22 그림 23
그림 19,20,21과 같이 중간 RG볼과 같이 플립블록을 사용하지만 대부분 "2"안쪽으로 형성되 있어서 비교적 낮은 RG를 보여준다.
그림 23은 여러개 퍽을 내부에 집중하여 RG를 낮게 한 구조이다.
* 낮은 RG볼





그림 24 그림 25 그림 26 그림 27 그림 28
낮은 RG은 비교적 코아가 작고 집중되 있으며 그림 25, 28과 같이 외피와 코아 사이에 가벼운 충전재를 사용하여 RG를 더 낮추는 효과를 보여주며 그림 27과 같이 중심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를 사용한다.
9. RG와 다른 결정요소와의 결합
낮은 RG볼에 거친 표면은 훅을 극대화하며 적은 편차를 적용하여 부드러운 백엔드가 나오게 설계할 수 있다.
일찍 훅이 시작되는 특징으로 표면을 매끄럽게 하면 롤을 증가하기도 한다.
마찰이 강한 볼이나 표면이 거친볼에 높은 RG는 렝스를 중간으로 끌어올려 오일에 적응력을 높여주고 투구를 쉽게 해주며 표면을 매그럽게 하여 드라이용으로 사용하게 한다.
RG를 알면 볼의 특징의 반 이상을 알 수 있다.
다른 결정요소와의 결합은 자신의 무기를 유용하게 사용하게 될 것이다.
출처:지존볼링
저작권자:박영훈
일시:2001년 2월21일
관리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